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2257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제 14회 송곡과학기술상 후보자 추천 안내
제 14회 송곡과학기술상 후보자 추천 안내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 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정책 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제14회 시상은 『과학기술정책‧관리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민간업체 등에서 연구개발 및 정책관리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자로서, 나.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에 관한 연구업적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다. 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 2. 시상인원 및 내용 ○ 1명,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3. 제출서류 : ○ 추천서(소정양식) 1부 ○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및 증빙자료 - 추천서 양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st.re.kr)에서 다운로드 4. 신청 및 접수처 : ○ 신청기간 : 2012. 1. 6(금)까지 ○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 이바다(☏02-958-6078)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5.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6. 시상일 및 장소 : 2012년 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유럽연구소 소장 공모(~12.30)
KIST 유럽연구소 소장 공모 한국 과학기술의 산실인 KIST는 대 EU 과학기술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있는 KIST 유럽연구소장을 초빙합니다. ■ 초빙 직위 ◦ KIST 유럽연구소 소장 ■ 지원자격 ◦ 국제협력사업 추진능력이 있고,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식견과 업적이 탁월한 분 ◦ 조직 경영에 대한 경륜과 식견을 가지신 분 ◦ 당해 연구소 운영에 관한 비전을 가지신 분 ◦ 박사학위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경력 소지자로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결격사유) 각 1호의 1에 해당하지 않는 분 ■ 제출서류 ◦ 이력서 (사진포함) 1부 ◦ 주요 업적 및 경력증명서 (최근 5년간 경력 각 1부) ◦ 추천서 1부 ◦ 에세이 1부 (주제: “KIST 유럽연구소 운영 및 발전방안”, A4 5매 이내) ◦ 주민등록등본 1부 ■ 접수 (연장) 기간 및 접수처 ◦ 기 한 : 2012. 1. 6. (금) 18시까지 (우편접수분은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 접 수 처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 14길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지원팀 (8221호) ◦ 제 출 방 법 : 직접 또는 우편제출 ■ 기타 ◦ 제출된 서류는 심사자료로만 활용되며, 일체 반환되지 않습니다. ◦ 문의: 국제지원팀 전서훈 (02-958-6324 / shjeon@kist.re.kr) ◦ KIST 유럽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kist-europe.de/) 한 국 과 학 기 술 연 구 원 원 장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유 위탁과제 2차 공모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유 위탁과제 2차 공모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실과 가상의 통합을 위한 인체감응솔루션’ 연구 관련하여, 새로운 기술을 발굴하고 신진연구자들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자 “자유 위탁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모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11. 10. 31.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단장 1. 사업 목적 및 근거 □ 사업명 : 현실과 가상의 통합을 위한 인체감응솔루션 □ 사업목적 : 시공간 한계가 사라지는 실감교류 확장공간 실현을 위한 인체감응솔루션 개발 □ 추진근거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운영관리지침 ※ 전체 사업소개는 붙임의 사업소개 참조 2. 자유 위탁과제 과제명 연구목표 비접촉식 무구속 접촉감-역감 생성 요소기술 개발 비착용식 무구속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손에 접촉감 혹은 역감을 전달할 수 있는 신개념 감각전달 장치의 핵심 요소기술 개발 손가락 및 손바닥의 파지 역감 생성 요소기술 개발 손가락 3개 이상을 사용한 Pinch Grasp과 선 접촉식 Power Grasp 역감을 생성, 전달할 수 있는 슬림형 실감전달 장치 개발 비침습형 비기계식 뇌-말초신경 자극 요소기술 개발 인간의 뇌 혹은 말초신경의 비침습적 비기계식 자극 요소기술 개발 Deformable 3D Human Avatar 모델 및 실시간 제어 기술 개발 다중 접촉에 따른 아바타의 전신운동 및 신체 Deformation 반응을 실시간 표현할 수 있는 3D Human Avatar Model 개발 □ 예산 : 300백만원 (4개 과제)※ 과제별 연구비는 붙임의 RFP 참조 □ 향후 일정 ○ 사업공고 : 2011년 10월 31일(월) ○ 신청서 접수 : 2011년 11월 16일(수) - 18일(금) ○ 선정 평가 : 2011년 11월 25일(금)※ 발표 평가 ○ 선정 통보 : 2011년 11월 28일(월) 3. 신청 요령 □ 온라인 제출 ○ 온라인 제출처 : suh7164@chic.re.kr ○ 제출 마감일 오후 6시까지 도착분에 한함 4. 평가 기준 □ 연구 목표 및 내용의 혁신성, 창의성 및 적정성, 연구개발 추진전략/체계의 합리성, 연구비 규모의 적정성 등 5. 문의처 □ 서규원 팀장(☎ 02-958-7393) 혹은 김진덕 담당(☎ 02-958-7394) 6. 별첨 □ 실감교류 인체감응솔루션연구 소개 □ 자유 위탁과제 RFP □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과제 공모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과제 공모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실과 가상의 통합을 위한 인체감응솔루션’ 연구 관련하여, 새로운 기술을 발굴하고 신진연구자들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자 “신규 세부과제” 및 “자유 위탁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모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11. 09. 26.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단장 1. 사업 목적 및 근거 □ 사업명 : 현실과 가상의 통합을 위한 인체감응솔루션 □ 사업목적 : 시공간 한계가 사라지는 실감교류 확장공간 실현을 위한 인체감응솔루션 개발 □ 추진근거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운영관리지침※ 전체 사업소개는 붙임의 사업소개 참조 2. 신규 세부과제 과제명 연구목표 양방향 실감교류를 위한 체성감각피질의 기전 연구 인간과 가상세계, 인간과 원격세계가 실감 교류할 수 있도록 물리적 접촉 없이 촉감을 양방향으로 상호전달하기 위한 체성감각피질 기전 기술 개발 □ 예산 : 400백만원 □ 향후 일정 ○ 사업공고 : 2011년 9월 26일(월) ○ 신청서 접수 : 2011년 10월 10일(월) - 12일(수) ○ 선정 평가 : 2011년 10월 18일(화) ○ 선정 통보 : 2011년 10월 19일(수) ○ 협약 : 2011년 10월 31일(월) 이전 3. 자유 위탁과제 과제명 연구목표 비접촉식 무구속 접촉감-역감 생성 요소기술 개발 비착용식 무구속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접촉감 혹은 역감을 전달할 수 있는 신개념 감각전달 장치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 손가락 및 손바닥의 파지 역감 생성 요소기술 개발 손가락 3개 이상을 사용한 Pinch Grasp과 선 접촉식 Power Grasp 역감을 생성, 전달할 수 있는 슬림형 실감전달 장치 개발 비침습형 비기계식 뇌-말초신경 자극 요소기술 개발 인간의 뇌 혹은 말초신경의 비침습적 비기계식 자극 요소기술 개발 3D SLAM 기반 삼차원 환경 실시간 모델링 기술 개발 3D 위치, 자세 및 영상 정보 융합형 3D SLAM 기반 실내환경 3D 지도 작성 기술 개발 Deformable 3D Human Avatar 모델 및 실시간 제어 기술 개발 다중 접촉에 따른 전신운동 및 신체 Deformation 반응을 실시간 표현할 수 있는 3D Human Avatar Model 개발 □ 예산 : 450백만원 (5개 과제)※ 과제별 연구비는 붙임의 RFP 참조 □ 향후 일정 ○ 사업공고 : 2011년 9월 26일(월) ○ 신청서 접수 : 2011년 10월 12일(수) - 14일(금) ○ 선정 평가 : 2011년 10월 21일(금) ○ 선정 통보 : 2011년 10월 24일(월) ○ 협약 : 2011년 10월 31일(월) 이전 4. 신청 요령 □ 온라인 및 우편 제출 (한 가지 방법으로만 제출하면 접수됨) ○ 온라인 제출처 : suh7164@chic.re.kr ○ 우편 제출처 : 서울시 성북구 월송길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협력관 L8326호 ○ 제출 마감일 오후 6시까지 도착분에 한함 □ 우편 제출시 연구개발계획서 10부 제출 5. 평가 기준 □ 연구 목표 및 내용의 혁신성, 창의성 및 적정성, 연구수행능력, 연구비 규모의 적정성 등 6. 문의처 □ 서규원 팀장(☎ 02-958-7393) 혹은 김진덕 담당(☎ 02-958-7394) 7. 별첨 □ 실감교류 인체감응솔루션연구 소개 □ 신규 세부과제 RFP □ 자유 위탁과제 RFP □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세부과제용, 위탁과제용 별도)
KIST 전문연구요원 채용공고
KIST 전북분원 연구부문 공개채용
2011년도 하반기 Postdoctoral Fellow 채용 공고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산실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국가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창조적 원천기술을 연구ㆍ개발하고, 그 성과를 보급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아래의 연구분야에서 함께 일하실 창의력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Postdoctoral Fellow를 초빙합니다. 1. 응모자격 - 국내ㆍ외 대학 박사학위 취득후 5년 이내인 자 (한국인)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2. 모집직종 - 박사후 연구원(Post-Doc.) 3. 근로조건 - 근무기간: 2년(4년까지 연장 가능) - 연봉 : 약 4,000만원(퇴직금 포함) + α (인센티브) - 일정기간 경과후 업적 평가를 통해 연봉 상향 지급 가능 -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 4. 채용인원: 각분야별 약간명 5. 채용분야: 첨부물 참조 6. 전형방법 - 1차 : 서류심사 - 2차 : 면 접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 통보) 7. 제출서류 - 지원서, 자기소개서, 학위논문요약서 각1부 ※ 홈페이지(http://www.kist.re.kr) 채용공지에서 다운로드 -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8. 접수기간 및 접수처 - 접수기간 : 2011.8.19(금)~2011.9.9(금) 18:00까지 (우편 또는 방문 접수, 마감일 KIST 도착분에 한함) - 접수처 : (136-791)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월송길 5 KIST 학연운영팀 Post-Doc. 담당자앞 - 문의: chois@kist.re.kr 9. 기타사항 -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증명서류 등이 허위로 판명되는 경우 합격을 취소할 수 있음 - 모든 개별연락은 이메일을 통할 예정이니 수신가능한 메일주소를 기재할 것 (hotmail.com 계정은 호환이 곤란함) <채용분야> 가. KIST 본원 (서울) 모집분야 세부내용 뇌의약 (Neuromedicine) - 화학생물학 (Chemical Biology) -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 의약화학 (Medicinal Chemistry) MEMS/나노바이오 (MEMS/Nanobio) - 바이오멤스 (BioMEMS) - 마이크로 로봇 (Micro-robot) 신경과학 (Neuroscience) - 생화학 (Biochemistry) - 분자세포생물학 (Molecular Cell Biology) -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 뇌신경신호처리 (Computational Neuroscience) - 후성유전학 (Epigenetics) - 기타 신경과학 관련분야 바이오닉스/로보틱스 (Bionics/Robotics) * 신경/바이오공학 (Neural & Bio Engineering) - 유전자치료 및 바이오광학 (Gene Therapy & Bio-Optics) - 신경신호 인터페이스 (Neural Signal Interface) - MEMS * 인지/운동 재활공학 (Cognitive & Motor Rehabilitation Engineering) - 재활로봇 (Rehabilitation Robot) - BCI기반 재활 (Brain-Computer Interface Rehabilitation) * 의료/인지 로봇 - 수술로봇 (Surgical Robot) - 인지로봇 및 휴먼로봇인터페이스 (Cognitive Robot & Human-Robot Interface) * 의료 IT - 컴퓨터지원수술 및 의료영상처리 (Computer-Aided Surgery & Medical Imaging Analysis) - 의료정보 및 전문가시스템 (Medical Information & Expert System) 생체재료 (Biomaterials) - 무기생체재료 (Inorganic Bio Materials) - 의료용고분자/나노바이오소재 (Biomedical Polymer/Nano-Bio Materials) - 조직공학 (Tissue Engineering) 테라그노시스 (Theragnosis) - 분자영상 (Molecular Imaging) - 분자진단 (Molecular diagnostics) 연성공학 (Soft Electronics) - 인쇄전자 기술 (Printable Electronics Technology) - 나노카본 연성소재 (Nano Carbon Soft Materials) 나노포토닉스 (Nano Photnics) - 반도체광소자 기술 (Semiconductor Photonic Devices) - 광섬유 기술 (Optical Fiber Technology) 전자소재 (Electronic Materials) - 산화물 에피박막 기술 (Epitaxial Oxide Thin Films) - 산화물 반도체 기술 (Oxide Semiconductor Technology) 에너지재료 (Energy Materials) - 촉매/전극소재 (Catalyst/electrode materials) - 전기화학소재 (Electrochemistry) 계산생물학 (Computational Biology) - 나노바이오 융합 시뮬레이션 (Nano-bio Convergent Simulation) 영상미디어 (Imaging Media) - 실감 3D 미디어 (Tangible 3D Media) - 상황인지 인터랙션 (Context-aware Interaction) 약학/화학생물학 (Pharmaceutics/Chemical Biology) - 약물동력학 (Pharmacokinetics) / 오믹스 기술(Omics Technology) - 화학생물학 (Chemical Biology) 에너지 (Energy) - 연료전지 (Fuel Cell) : 고온 및 저온 연료전지, 수소생산 및 저장 - 이차전지 (Battery) / 커패시터 (capacitor) - 태양전지 : 유기/무기박막태양전지 (Slar Cell : Organic / Inorganic Thin Film Solar Cell) - 미생물 바이오기술 : 바이오 촉매(Microbial Biotechnology : Bio catalyst) - CO2전환 : 촉매,공정개발(CO2 Conversion : Catalyst, Process Development) - 삼중열병합(Tri-generation)/수소액화기술/폐열활용냉방/연료전지BOP기술/에너지기계 (Dynamics/Vibration/Friction) 로봇/시스템 (Robot/System) - 센서 : 환경센서, MEMS 센서/액츄에이터 (Sensor : Environmental Sensor, MEMS Sensor & Actuator) - 로봇 : 인지-바이오 로봇 및 실감 인터랙션 (Cognitive-Bio Robotics & Coexistent Interaction) 환경 (Environment) - 물순환 이용(Water Recycle Utilization), - 위해성/보건 : 생화학, 분자생물학(Safety/Health :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 나노센서 : CNT sensor - Sensor network : 신호처리, 회로설계, 무선통신 (Signal processing, Circuit design, Wireless communication) NMR/구조생물학 (NMR/Structural Biology) - 단백질/핵산 구조분석과 분자상호작용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Interaction of Biomacromolecules) 이온빔 물리 (Ion Beam Physics) - 이온빔 주입 및 분석 : RBS/ERD/PIXE/AMS 등 (Ion beam implantation and analysis : RBS/ERD/PIXE/AMS) - MeV 가속기 분석 빔라인 Instrumentation (MeV ion beam accelerator beam line instrumentation) 나. 강릉분원 모집분야 세부내용 천연물과학 (Natural Products) - 천연물화학 (Natural Product Chemistry) - 분자세포생물학 (Molecular Cell Biology) - 해양 생태생물학 (Marine Eco-Biology) - 종양생물학 (cancer biology) 환경 (Environment) - 토양 및 지하수오염정화 (Soil & Groundwater Remediation) 다. 전북분원 모집분야 세부내용 구조용 복합소재 (Structural Composite Materials) - 탄소섬유 신공정 개발 (Carbon Fiber Advanced Process Development) - 구조용 고분자 복합소재 (Structural Polymer Composite Materials) 기능성 복합소재 (Functional Composite Materials) - 나노카본 합성 및 응용 (Nanocarbon Synthesis and Application) - 탄소 기반 전자소자 (Carbon Based Electronic Device) - 유기 하이브리드 반도체 기술 (Organic Hybrid Semiconductor Technolog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2011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2011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 기 간: 2011. 8. 10(수) ~ 15(화) /6일간 ▪ 장 소: 대구 EXCO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3년마다 지방순회 개최 ▪ 주제: 미래로 떠나는 신나는 과학창의여행 * 우리가 꿈꾸는 미래세상을 향한 과학기술의 노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창의・융합 교육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 ▪ 주최/주관: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대구광역시청 ▪ 개막식: 2011년 8월 10일(수) 11:00 ~ (예정) *모든 관람객들이 함께 즐기는 개막식 퍼포먼스 연출 과학자, 어린이, 로봇이 음악․미디어아트를 매개로 하나로 융합하는 미래세계 연출계획 ▪ 모두가 참여하고 함께하는 축제! - 학생, 학부모 뿐만 아니라 과학자, 교육자, 예술가 등 모두가 참여하고 소통‧융합하는 축제의 한마당 * 정부출연연, 프론티어사업단, 기업, 대학, 민간단체, 교과연구회, 국내외 석학,예술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참여 ▪ 볼거리, 즐길 거리가 풍부한 체험중심의 축제! - 미래선도 과학기술 성과 전시・체험을 통한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 조명 - 인간・로봇 협주 개막공연, 미디어아트전시, 과학창의체험프로그램, 과학퀴즈 및 체험이벤트 ▪ 국내외 유명 석학과의 만남이 있는 축제!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더글라스 오쉐로프 교수의 특별강연 - 해외선진과학교육전문가 연수 및 정부 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전시설명 미리보기 각 테마별 프로그램 소개 테마 구분 프로그램 소개 과학창의여행플랫폼 주제관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 창의․융합교육 ▪ 우리가 꿈꾸는 미래세상 :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 조명 ▪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창의융합교육 -미래상상돔 :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주제 표현 미래과학지혜 숲 미래과학 기술관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과 25대 핵심 과학기술 전시․체험 ▪ 자연과 함께하는 세상, 풍요로운 세상, 건강한 세상, 편리한 세상 구현 ▪ 출연연구소(26개), 프론티어사업단(12개) 등 약 50여개 기관 성과전시 및 교육기부체험프로그램 운영 테마산책 육상과학 특별관 육상속의 과학 특별관 ▪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속의 과학 전시․체험 세계화학의 해 특별관 UN 지정 ‘세계화학의 해’ 기념 특별관 구성 ▪ 세계 화학의 해 기념 특별 전시․체험 해외선진 과학교육관 해외 선진과학교육 특별관 구성 ▪ 프랑스, 세르비아, 폴란드, 중국, 일본 등 7개국 9개 프로그램 해외 선진과학교육 프로그램 체험 전국과학관 특별전시 전국과학관 대표 전시물 특별전시 ▪ 해양이야기, 자연이야기, 첨단이야기 테마로 전국 11개 과학관의 대표전시물 특별전시 과학・교육융합 브릿지 미래융합관 ▪ 미디어아트 작가전 ▪ 과학시각화작품, 세계․한국 과학사, 명화 속 과학, RGB사진전 (융합문화 전시・체험) ▪ 사이언스 북페어(우수과학도서 전시・열람) 미래창의인재바다 미래 인재관 과학교육, 창의‧인성교육, 창의체험, 영재교육 체험 ▪ 42개 대학이 운영하는 생활과학교실 ▪ 과학동아리와 함께하는 청소년과학탐구반 ▪ 과학고 R&E 연구체험교실, 입학상담 ▪ 과학중점고 열린수업 ▪ 창의인성교육넷(Crezone.net) 체험존 ▪ 과학창의체험프로그램 미래사회소통하늘 미래사회 소통관 노벨석학 과학기술앰배서더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더글라스 오쉐로프 교수(1996년 극저온 물리현상규명)의 특별강연 다양한 분야와의 소통․융합의 장 ▪ 과학기술과 사회와의 소통 : STS 네트워크 포럼 - 과학기술과 음악, 미술의 만남 ▪ 창의인성교과연구회 성과 중간결과 발표회(1,000명) ▪ 창의 교사연수(FOSS, STC-K 교사연수) - FOSS : 미국 국가과학재단이 개발한 과학창의체험학습모듈 - STC-K : 어린이를 위한 체험・탐구 위주의 과학교육프로그램 숨은과학 찾기 이벤트 ▪ 나는 과학퀴즈왕 : 행사장에 숨어있는 QR코드 찾아 퀴즈풀기 ▪ 브레인 빅뱅 : 신개념 ○× 퀴즈프로그램 ▪ 화학원소 빙고게임 : 원소 기호를 이용한 빙고게임 ▪ 내가 만드는 친환경쥬스 : 자전거발전기를 이용한 쥬스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