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KIST"에 대한 4647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답변] 재직 증명서
안녕하십니까. 재직증명서는 아래 공지글 참고하셔서 해당부서에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증명서 발급 방법 (증명서 발급신청서 포함) https://www.kist.re.kr/kist_web/?state=view&sub_num=4088&searchKind=&searchWord=&v_pagesize=10&v_page=1&idx=8443&seqNo=1&reportMediaTypeCode= 감사합니다.
[답변] 기숙사 문의
안녕하십니까. 문의주신 내용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KIST 기숙사는 수도권 제외한 지방 거주 중인 독신자에에 한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기숙사 리모델링 계획으로 인해 2022년 3월 중 퇴실을 진행하고, 2023년 12월 이후 입주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02-958-6121(총무복지팀)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IST X HYOJOO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라이딩
TITLE) ‘GRaND KIST’, Riding in KIST (자막) KIST X HYOJOO (자막) Riding in KIST (멘트) “지금이 행복해요.” “바람을 타면서 바람 속에서 라이딩할 때” “내가 바람이 된 것 같을 때…” “고효주입니다.” “키스트는 어느 정도 알고 있어요. 아무나 출입할 수 없잖아요. 그래서 좀 설레는 느낌? 어떤 연구를 하는 곳인지 궁금하네요.” (자막) 도전 challenge (멘트)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취직하고 정해진 일과 속에서만 살아왔어요. 그래도 그냥 시작했어요.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지금 시작해라. 그리고 즐겨라.” (자막) 자존 self-esteem (멘트) “자신감? .. 그것보다 더 깊은, 자존감..” (자막) 책임 responsibility (멘트) “내 삶의 매 순간에 대한 책임감이 있어야죠.” “마치 내가 바람이 된 것 같을 때 느끼는 그 기분은 라이더들만 알 수 있을 거에요.” (자막) Taking action on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멘트) KIST에서는 고령화사회에 대비하고, (자막) Laying the foundatio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멘트) 4차 산업혁명도 준비하고, (자막) Discovering innovative growth engines (멘트) 성장동력도 발굴하고, (자막) Leading the realization of a sustainable society (멘트) 사회가 지속 가능하도록 연구를 한다고 해요. 솔직히 전 이런 거 잘 모르지만, 여기 KIST에서 하나는 확실히 느꼈어요. 이 분들도 나처럼 즐.겁.게. 연구하시는구나. “미래요? 오늘 시작하고 오늘을 즐기면, 내가 진정 원하는 ‘오늘’이 ‘내일’ 올 거라고 생각해요.” (자막) 미래를 오늘로 만드는 연구소 (자막) Grand Challenge GRaND KIST (멘트) "여기 KIST에서처럼요."
재직 증명서
안녕하세요. 2014 년 5월 부터 2015년 5월 까지 KIST에서 인턴을 한 사람입니다. 이번에 취직을 하게 되어서 KIST에서 인턴을 한 재직 증명서를 재출하여야 하는데요. 관련 서류 어느곳에 요청 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신동훈
기숙사 문의
안녕하세요, KIST-UST 대학원 2022 전기 신입생 지원을 고려하고 있는데 혹시 원내에 대학원생이 거주할수있는 기숙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대학원 과정 동안 계속 살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고지혈증약으로 변이암 잡은 의사과학자 "고통 없는 항암치료 만들 것"
김인산 단장팀, 스타틴으로 변이 암 면역적 치료 세계 첫 보고 "항암치료, 인간답게 사는데 목적 둬야" "치료제가 환자에게 쓰이지 않으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시판 중인 고지혈증약으로 변이 암 면역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으니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찾아 환자에게 쓰이는 치료제로 개발하겠습니다."(복잡계적응항암전략연구단 김인산 단장) 연구에 몰입하기 위해 의사에서 연구자로 제2의 인생을 택했던 KIST 복잡계적응항암전략연구단 김인산 단장이 고지혈증약 스타틴을 KRAS 변이 암 면역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다. 스타틴은 이미 시판돼 안정성이 인정된 치료제로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독하다 알려진 양약(洋藥)과 달리 의사들도 처방받아 먹을 정도로 안정적이어서 '양약의 보약'이라 불린다. 스타틴의 새로운 발견은 고가의 항암면역치료제의 가격을 낮출 것으로 보인다. 또 새로운 항암 면역치료 패러다임을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스타틴효능 알았지만...누구도 풀지 못한 이유 밝히다 항암치료는 1세대 '화학 항암제' 2세대 '표적항암제'를 거쳐 3세대 '항암 면역치료'로 발전했다. 항암 면역치료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활용해 암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정상 세포 손상 없이 항암효과를 지속시켜주어 치료의 경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암세포의 복잡성과 잦은 변이 등으로 항암 면역치료에서 효과를 보이는 환자는 30% 미만이다. 치료제 비용도 억대가 넘어 사회적 부담도 크다. 모든 암에 효과를 보이는 것도 아니다. 전체 암에서 4분의 1 정도를 차지하는 KRAS 변이 암은 1~3세대 치료법을 통틀어 효과를 크게 보지 못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상태다. KRAS 암세포는 폐암, 대장암, 췌장암 등 치사율이 높은 암종에서 많이 나타나 치사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의사 출신인 김 단장은 환자들이 부작용이 두려워 항암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모습을 봐왔다. 고통 없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에 몰입하게 된 이유다. 그는 항암 면역치료의 단점 개선을 위해 고지혈증약 스타틴에 주목했다. 그에 따르면 스타틴은 예전부터 항암효과에 좋다는 연구가 여러 번 보고됐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이 없었다. 김 단장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세포 증식 관련 신호를 조절 억제하는 스타틴의 특징과 KRAS 돌연변이 신호 억제 특징이 KRAS 변이 암의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무엇보다 스타틴이 단순히 KRAS 암세포 죽음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항암에 대한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하면서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김 단장은 종양 동물 모델과 환자 유래 암세포에 스타틴을 처리하는 등 여러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스타틴이 KRAS 변이 암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것을 확인했다. 또 스타틴이 기존 항암 면역치료에 저항성을 보였던 암 면역 환경을 변화시켜 항암 면역치료 효능을 더 많이 유도하는 것을 밝혔다. 김 단장은 암 종류에 상관없이 항암제와 스타틴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과거 항암제는 흑색종, 대장암 등 특정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환자군을 모아 임상을 추진해 야 FDA 승인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의학 발전으로 암종류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범위가 늘어나고 있다"며 "스타틴 역시 KRAS 암세포를 가진 환자라면 누구나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항암치료, 인간답게 사는데 목적 둬야 김 단장팀은 스타틴 기반 약물재창출 전략 가능성을 확인했지만, 여전히 과제는 남아있다. 암 치료를 위한 최적의 용법으로 찾고 제형을 개발해야 한다. 그는 "경구용 항암치료가 많지 않아 대부분 환자는 내원해 병상에 누워 치료를 받는데 시간을 많이 쓴다"며 "스타틴은 경구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큰 장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현재 흡수용량으로는 항암치료에 쓸 수 없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흡수용량을 늘리기 위한 연구 디자인을 대략 마치고 특허도 출원했다. 남은 것은 추가 연구와 기업과 협업이다. 하지만 스타틴이 워낙 저렴한데다 약물재창출이다 보니 약가(의약품 적용가격)가 낮게 책정될 가능성이 크다. 기업들이 뛰어들어 연구하기 어려운 상황인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19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의 3대 사인은 암, 심장질환, 폐렴으로, 전체 사망자의 27.5%가 암으로 사망했다. 암 환자가 늘어날수록 사회적 비용도 늘어나는 만큼 꾸준한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지만, 투자 대비 수익이 불투명한 사업에 뛰어들지 못하는 기업을 탓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실은 녹록지 않지만 김 단장은 연구에 머물지 않고 환자에게 쓰일 수 있는 길을 계속 찾을 계획이다. 그는 "과거 불치병으로 불렸던 암이 의학 발전으로 극복할 수 있는 병이 됐지만, 여전히 죽지 않을 만큼 최대용량의 약을 쓴다고 말할 정도로 치료가 어려운 병"이라며 "암은 더는 피할 수 없는 병이다. 앞으로의 항암치료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것 뿐 아니라 보다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하는 데도 목적을 두어야 한다. 그중 하나가 경구용 항암면역치료가 될 것"이라며 연구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조용범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했으며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게재됐다.
[Vol.194] ESG 큰흐름, 선진한국 마중물 삼을 때
<center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map name="top"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btm"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Map1"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Map2"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Map3"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Map4"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Map5"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map name="Map6"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span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img border="0" src="https://trs.maillink.co.kr/o/5981328.2855.gif" style="font-family: " malgun="" gothic";="" font-size:="" medium;"="">
원하는 조직만 파괴하는 정밀 집속초음파 수술 기술 개발
- 기포 운동 제어로 기존 집속초음파 기술의 단점인 충격파 산란 효과 극복 - 생체조직 미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침습 정밀 수술에 적용가능 비침습적 특성을 갖는 다양한 초음파 효과를 이용하여 기존 외과 수술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특히 이 가운데 초음파의 초점에서 약 1/100초의 짧은 시간에 생성되는 강력한 기포를(케비테이션) 이용해 주변 생체조직을 칼로 자른 듯 물리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집속초음파 기반 생체조직 파쇄 기술은 기존의 열로 조직을 태워 없애는 하이푸(HIFU) 방식보다 실시간 케비테이션 분석을 통한 치료과정 모니터가 가능하고 치료시간이 짧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바이오닉스연구센터 박기주 박사가 가변압력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미세하게 생체 조직을 파쇄할 수 있는 새로운 초음파 수술 기술을 개발 했다고 밝혔다. 박 박사는 기존 집속초음파 생체 조직 파쇄 기술에서 초음파 초점 부위뿐만 아니라 그 주변으로 2차 미세 기포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되는 충격파 산란효과 원리를 학계 최초로 밝혀낸 바있다. 기존 집속초음파 수술 기술은 생체조직을 물리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충격파 산란효과로 인해 정밀도가 낮아져 주요 장기 및 혈관에 밀접하게 위치한 조직 또는 종양을 제거해야 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초음파 초점에서의 음향 압력세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고안했다. 초음파 초점에서 기포 발생 직후, 순간적으로 초점 음향 압력세기를 변화시키면 충격파 산란 효과 없이 기포의 운동성을 제어하고 이로 인해 생체 조직을 보다 정밀하게 파쇄 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음향 시뮬레이션, 초고속 카메라 기반 인체조직 모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검증했다. 그 결과 초점 음향 압력세기를 조절해 충격파 산란 효과없이 초음파 초점에서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론 크기를 갖는 수증기 기포를 생성하고, 기포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음향압력 세기가 충격파 산란 효과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압력보다 낮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팀은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했다. 또한, 초음파 초점에서 기존 집속초음파 기술 대비 훨씬 더 정밀한 수십~수백㎛ 단위로 생체조직을 미세하게 파쇄 할 수 있는 것을 동물실험 단계에서 관찰했다. KIST 박기주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초음파 기술은 기포의 크기 및 지속 시간을 제어하여 조직의 정밀 파쇄가 가능한 신기술이다. 기존 집속초음파 기술의 최대 단점인 충격파 산란 효과에 의한 낮은 정밀도를 보완했을 뿐만 아니라, 기포 운동 및 지속시간 제어를 통한 파쇄 범위 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원하는 특정 세포만을 선택하여 파쇄하거나 탈세포화 기반 세포 이식 연구 분야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하며, “관련 핵심 초음파 기술은 국내 및 미국에 특허 출원 완료했으며, 정밀 수술 및 시술이 가능한 핸드헬드 타입 초음파 의료기기의 상용화를 목표로 후속 연구를 진행중이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및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음향(Acoustics) 분야 최상위 권위지인 ‘Ultrasonics Sonochemistry’ (JCR 분야 상위 1.562%)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Control of the dynamics of a boiling vapour bubble using pressure-modulated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without the shock scattering effect: A first proof-of-concept study - (단독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기주 선임연구원 그림 설명 [그림 1] 새로 개발한 집속초음파 기반 생체조직 파쇄 기술(가변압력 충격파 히스토트립시) 개념도: Pressure-modulated shockwave histotripsy [그림 2] 가변압력 충격파 히스토트립시에 의해서 발생하는 케비테이션 현상을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조직 모사 실험에서 촬영한 결과 [그림 3] 기포에 의해서 산란되는 초음파와 입사되는 초음파와의 상호간섭을 보여주는 음향시뮬레이션 결과. 충격파 산란 효과가 나타나는 압력 역치(-28 MPa) 보다 낮음 [그림 4] 새로 개발한 가변압력 충격파 히스토트립시 기술에 의해 파쇄된 동물의 간 조직 - 1 pulse 적용 후
원하는 조직만 파괴하는 정밀 집속초음파 수술 기술 개발
- 기포 운동 제어로 기존 집속초음파 기술의 단점인 충격파 산란 효과 극복 - 생체조직 미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침습 정밀 수술에 적용가능 비침습적 특성을 갖는 다양한 초음파 효과를 이용하여 기존 외과 수술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특히 이 가운데 초음파의 초점에서 약 1/100초의 짧은 시간에 생성되는 강력한 기포를(케비테이션) 이용해 주변 생체조직을 칼로 자른 듯 물리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집속초음파 기반 생체조직 파쇄 기술은 기존의 열로 조직을 태워 없애는 하이푸(HIFU) 방식보다 실시간 케비테이션 분석을 통한 치료과정 모니터가 가능하고 치료시간이 짧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바이오닉스연구센터 박기주 박사가 가변압력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미세하게 생체 조직을 파쇄할 수 있는 새로운 초음파 수술 기술을 개발 했다고 밝혔다. 박 박사는 기존 집속초음파 생체 조직 파쇄 기술에서 초음파 초점 부위뿐만 아니라 그 주변으로 2차 미세 기포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되는 충격파 산란효과 원리를 학계 최초로 밝혀낸 바있다. 기존 집속초음파 수술 기술은 생체조직을 물리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충격파 산란효과로 인해 정밀도가 낮아져 주요 장기 및 혈관에 밀접하게 위치한 조직 또는 종양을 제거해야 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초음파 초점에서의 음향 압력세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고안했다. 초음파 초점에서 기포 발생 직후, 순간적으로 초점 음향 압력세기를 변화시키면 충격파 산란 효과 없이 기포의 운동성을 제어하고 이로 인해 생체 조직을 보다 정밀하게 파쇄 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음향 시뮬레이션, 초고속 카메라 기반 인체조직 모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검증했다. 그 결과 초점 음향 압력세기를 조절해 충격파 산란 효과없이 초음파 초점에서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론 크기를 갖는 수증기 기포를 생성하고, 기포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음향압력 세기가 충격파 산란 효과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압력보다 낮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팀은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했다. 또한, 초음파 초점에서 기존 집속초음파 기술 대비 훨씬 더 정밀한 수십~수백㎛ 단위로 생체조직을 미세하게 파쇄 할 수 있는 것을 동물실험 단계에서 관찰했다. KIST 박기주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초음파 기술은 기포의 크기 및 지속 시간을 제어하여 조직의 정밀 파쇄가 가능한 신기술이다. 기존 집속초음파 기술의 최대 단점인 충격파 산란 효과에 의한 낮은 정밀도를 보완했을 뿐만 아니라, 기포 운동 및 지속시간 제어를 통한 파쇄 범위 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원하는 특정 세포만을 선택하여 파쇄하거나 탈세포화 기반 세포 이식 연구 분야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하며, “관련 핵심 초음파 기술은 국내 및 미국에 특허 출원 완료했으며, 정밀 수술 및 시술이 가능한 핸드헬드 타입 초음파 의료기기의 상용화를 목표로 후속 연구를 진행중이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및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음향(Acoustics) 분야 최상위 권위지인 ‘Ultrasonics Sonochemistry’ (JCR 분야 상위 1.562%)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Control of the dynamics of a boiling vapour bubble using pressure-modulated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without the shock scattering effect: A first proof-of-concept study - (단독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기주 선임연구원 그림 설명 [그림 1] 새로 개발한 집속초음파 기반 생체조직 파쇄 기술(가변압력 충격파 히스토트립시) 개념도: Pressure-modulated shockwave histotripsy [그림 2] 가변압력 충격파 히스토트립시에 의해서 발생하는 케비테이션 현상을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조직 모사 실험에서 촬영한 결과 [그림 3] 기포에 의해서 산란되는 초음파와 입사되는 초음파와의 상호간섭을 보여주는 음향시뮬레이션 결과. 충격파 산란 효과가 나타나는 압력 역치(-28 MPa) 보다 낮음 [그림 4] 새로 개발한 가변압력 충격파 히스토트립시 기술에 의해 파쇄된 동물의 간 조직 - 1 pulse 적용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