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95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KIST와 고려대, 정책기술대학원과 공동연구센터 설립 MOU
우리나라 대표 연구기관인 KIST와 사학의 명문 고려대학교가 우수한 인력과 과학기술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기 위해 정책기술대학원과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금동화 KIST 원장과 이기수 고려대 총장은 22일 오전 고려대 회의실에서 박종구 교육과학기술부 차관과 유희열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이 배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양 기관이 내년 상반기중 설립할 예정인 `고려대-KIST 에너지ㆍ환경 정책기술대학원'은 에너지ㆍ환경분야의 국가정책 및 전략개발과 첨단기술 연구개발을 동시에 수행하는 `융합형 연구ㆍ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교수진은 고려대 인문사회 관련 학과 등의 우수한 교수 인력과 KIST의 에너지ㆍ환경분야 전문 연구인력으로 구성되며 양측은 대학원을 에너지ㆍ환경분야의 국가정책 및 전략수립을 주도하는 민간 싱크탱크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올 하반기 중 설치될 스핀융합기술공동연구센터는 차세대 메모리의 핵심연구분야인 스핀메모리 및 스핀 전자소자 원천기술 개발은 물론 스핀트로닉스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핀 전자소자 기술은 민간기업이 독자적으로 연구개발 하기에는 과학기술적 난이도과 기술개발 위험도가 높지만 성공할 경우 대규모 시장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된다. 공동연구센터 운영에 있어서 KIST는 그동안 축적된 연구경험과 역량, 스핀 메모리 기반기술을 제공하고, 고려대는 스핀기술 개발에 필요한 기초과학 및 재료공학, 전자공학 등 각 분야의 우수한 인적자원을 공급하게 돼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 센터장은 KIST에서 파견된 책임급 연구원이 맡게 되며 KIST는 장기적으로는 전략적 공동 연구분야를 추가로 발굴해 연구센터를 고려대 내 KIST 부설연구소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양 기관은 이외에도 `학연협동연구 석박사과정'을 통한 학생지도에 그쳤던 교육수준을 교수와 연구원을 상호 파견하는 실질적 협력단계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연구경험이 풍부한 KIST 책임급 연구원이 강의와 대학원생 연구지도 등 대학 연구과제 자문역을 수행하고, 고려대 교수들은 방학이나 안식년에 KIST의 연구 인프라를 활용하는 연구사업에 참여한다. 이번 학연 협력은 대학의 풍부한 고급인재와 연구기관의 고도화된 R&D 인프라간 보완을 통해 핵심역량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대학과 출연연간 새로운 협력모델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있다.
KIST유럽연구소 10주년 기념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7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독일잘란트주 자뷔르켄시에 위치한 KIST 유럽연구소에서 김우식 부총리겸 과학기술부장관,금동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김창호 유럽연구소장 등 현지 산·학·연 관계자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KIST 유럽연구소는 1996년 2월에 '현지 연구를 통한 원천기술의 조기확보' 및 'EU 국가들과의 기술교류 및 공동연구를 통한 과학기술 국게화 촉진'이라는 취지로 설립됐다. 사진왼쪽부터 이춘식KIST원장, 김우식 과기부총리, 이수혁 주독대사,배순훈 전 정보통신부장관,게오르기 독일 잘란트주 경제성 장관,바르나케 전 프라온호퍼 총재.
KIST유럽연구소, 전남대 로봇연구소와 MOU 체결
KIST유럽연구소, 전남대 로봇연구소와 MOU 체결 - 로봇기반 융합기술분야 실질협력 기대 KIST유럽연구소 김창호 소장은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로봇연구소 박종오 소장(왼쪽)과 6월 13일(금) 오전(현지시간) KIST유럽연구소에서 ▲방문교수 및 연구자 교류, ▲실습생 교환, ▲공동 심포지움 개최, ▲공동 연구 추진 등에 관한 일반 협력협정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RT(로봇기술)를 접목한 융합기술 분야에서 향후 실질적인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며, 올해 KIST유럽연구소에 전남대 현지실험실을 설치하고, 독일 잘란트 대학-KIST유럽연구소-전남대 간 복수학위과정(Dual Degree)을 추진하는 한편, 유럽지역 연구그룹과의 인적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제7차 EU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KIST유럽연구소는 연세대(2006년 9월), 고려대(2008년 2월) 현지랩 개설에 이어 전남대학교와의 협력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지방대학의 국제화 사업에 기여하는 동시에, 전남대가 중점 추진 중인 로봇사업과 KIST유럽연구소의 바이오MEMS, 센스기술 등 상호 강점기술을 활용한 융합기술분야에서 협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KIST유럽연구소-연세대 공대와 공동연구협정 체결(9.29)
KIST 유럽연구소(소장 김창호)는 9월 29일 오전 10시(현지시각)에 독일 자뷔르켄 KIST 유럽연구소에서 연세대 공과대학(학장 김문겸)과 공동연구 협력협정을 체결하고 연세대 공과대학의 EU 현지랩을 KIST 유럽연구소에 설치하였다. 이날 설치한 현지랩을 통해 양 기관의 EU FP(프레임워크 프로그램) 등 EU지역 연구사업에의 공동참여 및 연구진 교류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KIST의 과학씨앗, 신남방정책의 파트너인 베트남에도
- KIST, 베트남 과학기술분야 정부부처 공무원 초청 워크숍 개최 - ODA 프로그램 일환, 베트남의 과학기술 선진화 및 협력 기반 조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2018년 7월 10일(화)부터 17일(화)까지 8일간, KIST 본원에서 베트남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전략연구소(NISTPASS) 등 과학기술 분야 관계부처 공무원 총 15명을 초청하여 ‘Workshop on Capacity Building in S&T Policy Formulation’을 개최한다. KIST는 지난 2015년부터 개발도상국 과학기술 선진화 및 연구능력 함양에 기여하고자 매년 강의 및 현장방문, 액션플랜 수립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ODA 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에는 베트남 과학기술 분야 관계부처 공무원들이 참가하여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경험 및 정책에 대해 배우고, KIST를 모델로 베트남 하노이에 건립되는 VKIST(한-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에 적용 가능한 정책 모델 개발 역량을 키우게 된다. * Vietnam-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특히, 이번 워크숍에서는 KIST 설립 초기 정부의 역할 및 자체 운영·발전경험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KIST 연구진들과 베트남 공무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그룹 활동을 통해 베트남에 설립될 VKIST의 성공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한다. KIST 이병권 원장은 “베트남 정부가 지향하는 현대적 산업국가 건설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라고 강조하고, “이번 워크숍을 통해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경험과 KIST의 설립경험을 공유하고, 베트남과 동반자로서 서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KIST는 2015년 에티오피아 과학기술부 공무원, 2016년 중남미 3개국(에콰도르, 파라과이, 페루) 과학기술 관련 공무원 및 연구자, 2017년 아프리카 4개국(세네갈, 에티오피아, 르완다, 코트디부아르) 대학 총장 및 교수진, World Bank 과학기술·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개발도상국 초청연수를 진행한 바 있다.
KIST의 발전경험, 베트남 과학기술분야의 희망이 되다
- KIST, 베트남 과학기술분야 정부부처 공무원 초청 워크숍 개최 - ODA 프로그램 일환, 신(新)남방정책 과학기술 협력 가속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11월 13일(수)~20일(수)까지 총 8일간, KIST 본원에서 베트남 과학기술부(MOST) 및 관계부처 공무원 총 14명을 초청하여 ‘2019 Workshop on Capacity Building in S&T Policy Formulation’을 개최한다. 지난 2015년부터 시작된 KIST 주관 개발도상국 과학기술부처 공무원 및 연구자 대상 초청 워크숍은 강의, 기관방문, 액션플랜 수립 등의 활동을 통해 협력국의 과학기술 선진화 및 연구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하였다. 올해에는 베트남 과학기술부 및 관계부처 공무원 총 14명이 참가하여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경험 및 정책에 대해 배우고, KIST의 설립 초기 정부의 역할, 과학기술 발전 기여방안, 인재양성 분야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워크숍은 ’18~’20년에 걸쳐 진행되는 베트남 과학기술분야 정부부처 공무원 대상 제2차 년도 워크숍이며, KIST 연구진들과 베트남 공무원들이 함께 양국 과학기술 정책 및 제도 분석을 통해 베트남에 설립될 VKIST(한-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의 성공적인 운영 방안과 양국 간 과학기술 정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 Vietnam-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를 통해 양국 간 과학기술 정책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액션플랜을 도출하여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에 일조하며, VKIST를 포함한 다양한 과학기술 협력의 초석을 마련할 예정이다. KIST 이병권 원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KIST가 베트남의 과학기술 동력을 이끄는 동시에, 한 걸음 더 나아가 ‘한-아세안 미래공동체’를 실현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KIST는 2015년 에티오피아 과학기술부 공무원, 2016년 중남미 3개국(에콰도르, 파라과이, 페루) 과학기술 관련 공무원 및 연구자, 2017년 아프리카 4개국(세네갈, 에티오피아, 르완다, 코트디부아르) 대학 총장 및 교수진, 2018년 베트남 과학기술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개발도상국 초청 워크숍을 진행한 바 있다. 특히, 2017년도 초청연수에서는 KIST-World Bank-아프리카 4개국 대학 인력교류 및 공동연구 장학 프로그램 신설·운영에 합의하였고, 동 프로그램을 통해 2019년도 총 4명의 박사과정 학생이 KIST School에 입학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