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과학기술 기반의 혁신주도 성장 견인 2026년 중점투자방향 1. 과학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2. 첨단산업·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 확립 3.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국가적 임무 해결 투자시스템 고도화(LEAD) Lean(효율성), Effective(효과성), Agile(민첩성), Dynamic(역동성)
출처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PACST)
등록일2025-03-13
조회수36
-
인공지능+과학기술(AI+S&T<Science&Technology>) 활성화 방안
인공지능과 과학기술의 융합 통한 혁신 가속화, 사회문제 해결 언급 * 추진전략 1. AI+S&T 혁신 가속화 - ②AI+S&T→사회문제 해결 - 융합 R&D 확산, 추진전략 2. AI+S&T 인프라 강화 - ③ AI 및 연구 융합 양손잡이 인재 양성 등 주요내용 <주요 추진과제> 1. AI + S&T 혁신 가속화 1) (AI+S&T → R&D 혁신 가속화) 대규모 데이터 분석, 장기 실험이 필요한고난이도 연구에 AI 모델을 개발·적용하여 원천기술 R&D 패러다임 혁신 - (AI+S&T 혁신 프로그램) 신구조·신물성 탐색, 실험설계·수행, 결과 분석 등 기존 R&D를 혁신하는 분야별 특화 AI 모델 개발(`26~) - (차세대 AI+S&T 기반기술 개발) 초연산, 원리 규명 등 새로운 과학기술 지식 창출에 특화된 차세대 AI 기반기술 확보(`26~) 2) (AI+S&T → 사회문제 해결) 대규모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하여 국민 안전을 확보하는 융합 R&D 확산 2. AI + S&T 인프라 강화 1) (AI+S&T 전용 컴퓨팅 자원 확충)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여 슈퍼컴 6호기 및 ’(가칭)AI+S&T 특화 시스템‘ 구축·운영 - (슈퍼컴 6호기) 중·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요구하는 연구지원을 위해 600PF급(GPU 약8천개) 인프라 구축·운영(`26~) - (특화 시스템) 소규모 연산자원을 요구하는 AI 활용 연구에 특화하여 총 40PF급(GPU 약550개) 인프라 구축, 출연연 등 공동활용*체계 마련(`25~) 2) (특화 시스템) 소규모 연산자원을 요구하는 AI 활용 연구에 특화하여 총 40PF급(GPU 약550개) 인프라 구축, 출연연 등 공동활용*체계 마련(`25~) - (AI+S&T 과제) 연구시 생성·수집된 연구데이터와 AI 모델은 국내 산·학·연 연구자가 AI+S&T 특화시스템을 통해 공유·활용 - (분야별 데이터 확충) 데이터가 중요한 소재, 바이오 분야는 별도데이터 연계·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고품질 데이터 수집·활용 강화 3) (양손잡이 인재 양성) 석·박사과정 연계 교육 및 재직자 대상 단기교육 등을 통해 AI 이해력을 갖춘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26~) 4) (AI 기반 연구행정 지원 강화) 연구자의 행정 부담 완화 및 연구몰입 환경 조성을 위해 연구관리 행정 전반에 AI 도입 추진(`26~)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록일2025-03-12
조회수99
-
KEIT 산업기술R&D 24년 연구개발성과 및 25년 추진계획
* 산업기술 분야 지원현황·성과 및 동향 정보 제공 산업기술 뉴스 - 2024년 주요 뉴스 Review - 2025년 1-2월 뉴스 스크랩 KEIT 21개 산업분야별 주요성과 및 추진계획 - 주력산업 · 미래자동차(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 조선방산항공(조선해양, 방산) · 기계로봇장비(첨단기계·장비 분야, AI 자율제조, 로봇) - 첨단산업 · 미래반도체(시스템반도체, 반도체공정·장비) · 배터리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스마트전자, 스마트제조, 이차전지) · 섬유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 - 공급망산업 · 철강세라믹(세라믹, 금속재료) · 화학산업(화학공정, 뿌리기술) - 신산업 · 바이오헬스(바이오, 의료기기·헬스케어)
출처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등록일2025-02-28
조회수38
-
딥시크 쇼크와 AI 패권 경쟁
최신 외국 정책 정보 - 딥시크가 국제사회에 던진 충격과 함께 정보보안에 대한 논란 가중 - 주요국은 딥시크를 겨냥한 규제 정책 구체화 중 - AI 분야에서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 중국의 생성형 AI 시장 규모와 관련 쟁점
출처국회도서관
등록일2025-02-27
조회수60
-
CES 2025와 KEIT R&D 지원 방향
* 'DIVE IN(몰입)' 주제로 개최된 CES 2025 통해 미래 기술 방향성과 글로벌 시장 동향 확인 * 융합인지센서, 제조·서비스 융합, 그린 융합 등 언급 *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 통해 개발 지원을 받은 (주)셀리코 환자용 AR 글라스, (주)위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 윔(WIM) 등 혁신상 수상 1. CES 2025 소개 2. CTA가 제시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기술 동향 3. CES 2025 최고혁신상 및 혁신상 4. 2025년 CES 키워드와 KEIT의 R&D 지원 방향 5. CES 2025 혁신상 수상 KEIT 과제 수행기관
출처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등록일2025-02-21
조회수22
-
2025년 기술 트렌드와 시사점
<주요 내용> - 뷰카(VUCA) 시대, 기술 트렌드 바탕 새로운 돌파구 마련 필요 - 주요 기관이 선정한 2025년 기술 트렌드 분석 * 가트너(Gartner), 포브스(Forbes), 딜로이트(Deloitte), Trendforce, CB Insights 등 - 공통적 배경 1) 트럼프 2.0 시대의 산업과 기술 정책의 향방 (미중 기술 패권 전쟁 심화 등) 2) AI 대전환(AX : AI Transformation) 시대와 주도권 3) 양자 컴퓨팅 : The Next Game Changer? 4) 로봇 시대의 현실화 5) Clean Tech 투자와 경제성 확보
출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등록일2025-01-20
조회수171
-
202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계획
주요내용 <비전> AI 디지털 대전환, 과학기술로 미래 선도 <추진과제> 1.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성장동력 강화 1) 인공지능 세계(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 총력 - 「AI기본법」 제정 계기, AI 산업 성장을 위한 인프라 확충 - 민간의 高성장을 견인하는 투자 확대 및 규제·제도 개선 - 전 분야 AI·디지털 전환 촉진 및 유망기업 해외진출 지원 2) 첨단생명과학(바이오)·양자 등 국가전략기술 주도권 확보 - 첨단바이오 신산업 육성으로 바이오 경제 시대 선도 - 양자 분야 글로벌 주도권 확보 및 산업화 기반 마련 - 미래에너지, 우주 등 미래 유망기술 경쟁력 강화 - 민·관 협력 기반 국가전략기술 집중 육성 3)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 국가 기술사업화 플랫폼 혁신 - 범부처 원팀 기술사업화 주도 2. 미래를 대비한 R&D 시스템 개선 및 인재 양성 4) 선도형 연구개발 체계 장착 - R&D 투자시스템 고도화 및 성과 창출 - 우리 과학기술·디지털 지평을 세계로 확장 - R&D 사업에 대한 기획·관리·평가 내실화 5) 기초연구의 질적 전환과 출연연 혁신 - 기초연구 본연의 역할에 맞게 내실화 - 출연연을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의 구심점으로 육성 6) 우수 인재의 도전과 성장 지원 - 과학기술·디지털 인재의 성장-성공 지원 및 자긍심 고취 - 청년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AI·SW 교육 및 취업·창업 지원 강화 3. 과학기술·디지털로 민생경제 활력 견인 7) 민생을 보듬는 따뜻한 디지털 구현 - 「디지털서비스 민생지원 추진」 가동으로 민생 총력 지원 - 가계통신비 부담 경감 등 모든 국민의 디지털 이용권 보장 8) 국민 안심 디지털 안전 확립 - 365일 흔들림 없이 디지털 인프라의 안정성·신뢰성 확보 - 사이버위협에 대한 대응체계 고도화·지능화 추진 - 디지털을 악용한 민생범죄 원천 차단 추진 9) 과학기술·디지털로 지역 혁신 견인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과학기술 기반 기역 경제의 활력 제고 및 혁신역량 강화 - 지역 전략산업의 AX혁신 본격화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록일2025-01-13
조회수195
-
2025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융합연구 통한 미래 유망 원천 기술 확보 및 지원 언급 * 과학기술분야 - 1. 핵심 원천기술 개발로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 ② 미래 유망 원천 기술 확보 주요내용 <과학기술분야> 1. 핵심 원천기술 개발로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①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육성 - (바이오) 인공지는 바이오 집중 육성, 합성생물학 기반의 기술확보 및 국가 바이오제조 역량 강화 - (AI반도체) 차세대 반도체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R&D지원 강화 및 반도체 기업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공공팹을 고도화하고 첨단패키징·소부장테스트베드 지원을 위한 반도체 신규 팹(NNFC) 구축 기획과 공공팹 연계체계 강화 추진 - (양자) 양자 컴퓨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양자공통기반기술확보및 국제협력확대 등 다각적인 지원을 강화하여 탄탄한 양자생태계 조성 ② 미래 유망 원천 기술 확보 - (주력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분야 원천기술 선제적 확보를 위한 기술고도화 및 국제협력 - (태동기 바이오) 필수의료기기, 세포·유전자 치료제, 신개념 약물전달 기술 등 맞춤형 정밀의료 미래 기술을 선제적 확보 - (융합연구) 미래 신산업을 창출할 과학기술 난제, 도전·혁신적 융합연구 지원 및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 지원 ③ 범용(Enabling Tech) 기술 개발 확산 - (나노소재) 글로벌 핵심 공급망 주권확보를 위해 국가전략기술 핵심이 되는 고난이도 소재 발굴 및 AI 활용 소재 연구데이터 구축 활용 등 나노소재 R&D 고도화 - (극한기술) 초고온, 고방사선 등 극한 환경에서 활용되는 핵심 소자·부품연구개발, 실증 지원 등 전주기 지원을 통해 국방·우주 부품 국산화 추진 - (고온초전도) 세계 최초·최고 성능인 45T급 全 고온초전도 초고자기장 상용자석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극한환경 下신물질 개발 인프라 확보 추진 2. 연구자 중심의 연구생태계 구축 ④ 기초연구의 안정적 지원 및 질적 성장 도모 - 폭넓은 연구자가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기초연구 본연의 목적(지식탐색→축적→확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 구축 ⑤ 미래 대비 우수인재 양성·활용 집중 지원 - 미래 과학기술 분야 인력소요에 대응하기 위한 인재양성 지원을 확대하고 계약정원제 등을 통한 산업계 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추진 ⑥ 첨단 연구개발을 위한 핵심 연구인프라 구축 -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본격 착공 및 운영중인 대형가속기 필수 인력 확충 등을 통한 대형 연구인프라 활용기반 강화 3. 임무중심 기술 지원과 연구성과 확산 ⑦ 미래에너지 기술개발로 탄소중립 대응 강화 - 무탄소 에너지 확보, 기후변화 적응 및 자원순환 기술개발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 ⑧ R&D를 통한 지역 혁신 및 글로벌 협력 강화 - (지역혁신) 혁신클러스터 육성을 통해 지역 내 전략기술·딥테크 사업화 촉진, 지역이 주도하는 지역 R&D의 혁신생태계 조성 지원 - (다자협력) EU 주도 다자 R&D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 참여 첫 해를 맞아 우리 연구자들의 참여를 적극 지원 ⑨ 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술 사업화 생태계 조성 - 중대형기술 사업화, 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신속한 기술 스케일업·이전 추진, 연구실 창업 등 사업화 전주기 지원 강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1. AI·디지털 대전환 ① 인공지능, AI 반도체,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기술 확보 - (AI반도체) AI반도체 초격차 기술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국산 AI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추진 - (인공지능) 광범위한 작업과 도메인에 걸쳐 지식을 이해, 학습하고 실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 인공지능(AGI) 탐구 과제 및 지속 가능한 혁신 및 안전·신뢰 보장을 위한 AI 안전 기술개발을 추진 - (양자) 양자암호통신·센싱 산업화를 위한 R&D 지속 추진 및 양자 기반기술(양자계측 방법론) ② 차세대통신,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인프라 혁신·선도 - (5G·오픈랜) 국내 통신장비·모듈·부품 기업의 기술·시장 경쟁력강화를 위한 상용화 기술개발 투자 지속 - (6G) 6G 주도권 확보를 위한 6G 표준 연계 전략기술 개발추진 - (위성통신) 6G 표준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통신 탑재체, 지상국 및 단말국, 본체 및 체계종합 기술 확보 ③ AI·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AX 융합 확산 - (방송·콘텐츠) 디지털에 의한 감각 인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도전적 연구 및 디지털미디어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원천기술확보 - (스마트제조) 디지털 신기술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고도화 및 공급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제조, 유연생산 등 스마트제조 핵심기술 개발 - (디지털사회혁신) 디지털 역기능(보이스피싱, 디지털 성범죄, 딥페이크 등) 해소등디지털 융합 기반 사회문제해결 R&D를 발굴해 디지털 안심국가 실현 2. 디지털 기반 및 혁신 강화 ④ 신기술 확보⋅시장확대로 디지털 의제 주도국 도약 - 기술지형 변화에 대응 및 기술적·인적 교류 등 글로벌 R&D투자 확대 ⑤ 디지털 경제성장을 견인할 전략 기술 분야 핵심인재 확보 - 창의적 연구를 주도하는 AI분야 최고급 인재와 산·학, R&D연계를 통한 AI반도체 분야 실전형 연구인재 양성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록일2025-01-02
조회수156
-
융합성 지표의 개념 정립과 기초연구사업에의 적용 방안 연구
[목차] Ⅰ. 논의배경 Ⅱ. 융합연구의 의미와 현황 Ⅲ. 융합성의 확인 및 선정평가에 반영 Ⅳ. 결론 및 기초연구사업에의 시사점
출처한국연구재단(NRF)
등록일2023-08-08
조회수55